중위소득이 오른다는 건 내 삶의 기준이 달라진다는 의미
2025년 기준 중위소득(4인 가구 기준)이 5,729,913원 → 6,097,773원(+6.42%)으로 역대 최고폭으로 인상되었어요.
이는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 급여 기준이 동시에 상향된다는 뜻이며,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실제로 늘어났다는 신호예요.
자세한정보는 [복지로]에서 확인가능해요.

중위소득, 2024 vs 2025 가구원수별 비교
가구원 수 | 2024년 기준 중위소득 | 2025년 기준 중위소득 |
1인 | 2,228,445원 | 2,392,013원 |
2인 | 3,682,609원 | 3,932,658원 |
3인 | 4,714,657원 | 5,025,353원 |
4인 | 5,729,913원 | 6,097,773원 |
5인 | 6,695,735원 | 7,108,192원 |
6인 | 7,618,369원 | 8,064,805원 |
2024 vs 2025년 급여별 수급 기준 변화
기준 중위소득 증가로 인해 급여별 수급 기준도 동시에 높아졌고, 대상자 문턱이 낮아졌어요.
급여 항목 | 기준 중위소득의 % | 2024 기준금액 | 2025 기준금액 |
생계급여 | 32% | 1,833,572원 | 1,951,287원 |
의료급여 | 40% | 2,291,965원 | 2,439,109원 |
주거급여 | 48% | 2,750,358원 | 2,926,931원 |
교육급여 | 50% | 2,864,957원 | 3,048,887원 |
기준이 모두 올라가므로, 소득인정액이 해당 기준 이하인 경우 해당 급여 항목의 수급 대상이 될 수 있어요.
얼마나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?
이번 기준 중위소득 인상과 제도 개선으로 약 71,000명이 생계급여 수급자로 새롭게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.
이 수치는 자동차 기준 완화,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,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 등 여러 정책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예요.
개선 항목 | 내용 |
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| 기존 1600cc·200만원 미만 차량만 일부 소득 환산 → 2000cc·500만원 미만 차량까지 완화 |
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| 기존: 부양의무자 연소득 1억 원 초과 시 제외 → 새 기준: 1.3억 원 초과 시에만 제외 |
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 | 기존: 75세 이상만 추가 공제 → 새 기준: 65세 이상부터 추가 공제 적용 |
이로 인해 기존 탈락했던 분들이 다시 수급 대상에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졌어요.
복지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신청 시기: 연중 상시 신청 가능 (복지로 또는 주민센터)
방법: 온라인(복지로 사이트) 또는 오프라인(읍·면·동 주민센터)
처리 기간: 통상 30일 이내, 최대 60일까지 가능
이의제기 방법: 선정 탈락 시 지정된 기간 내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을 통해 신청 가능

기초생활보장 신청 시 꼭! 필요한 서류 정리
기초생활보장(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등) 신청을 위해서, 아래 서류들을 준비해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를 통해 제출하시면 됩니다.
필수 제출 서류
사회보장급여 제공(변경) 신청서 (공통서식)
금융정보 등 제공 동의서 (부양의무자 포함)
가족관계증명서 또는 가족관계 기록사항 증명서
임대차계약서 및 사용대차 확인서 (주거급여 신청 시)
통장 사본 (급여 지급 계좌용)
※ 이 외에도, 신청인의 신분확인용 신분증 또는 주민등록등본 등이 필요할 수 있으니, 사전 문의를 해보시길 바래요.
필요 시 추가 제출 가능한 서류
소득 확인용 증빙: 월급명세서, 소득금액증명원, 근로소득 원천징수부 등
기타 서류: 진단서·의료비 영수증, 수업료 납입서, 전출여부 확인서 등
부양의무자 관련 자료: 가출 확인서, 입학/병적/재소 증명서류 등
※ 신청 시점에 필요한 자료가 추가로 요구될 수 있으므로 신청 전 해당 주민센터에 확인하세요.
이번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의 역대 최대 인상(4인 기준 6.42%)은 단순한 통계적 변화가 아니예요.
복지 기준이 대폭 상향되어, 실제로 많은 국민이 실질적인 혜택의 기회를 얻게 된 변화라고 볼수 있어요 .인상된 중위소득을 바탕으로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 급여 기준이 함께 상향되며, 더 많은 가구가 복지 대상으로 포함될 수 있게 되었어요.
약 71,000명이 새롭게 생계급여 대상자로 포함 가능 이는 단순한 정책 수치가 아닌, 실제 도움이 필요한 분들이 지원을 받게 될 가능성을 의미해요.
이번 변화는 단순히 수치상 인상을 넘어, 우리 삶의 안정망이 실질적으로 넓어지는 중요한 계기라고 생각해요.
"혹시 내가 빠진 건 아닐까…" 걱정하셨던 분들이라면, 이 글을 통해 다시 한 번 자신의 조건을 확인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.
'일상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가 받을 수 있을까? 민생회복 소비쿠폰[2025] (7) | 2025.08.28 |
---|